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임신·출산 지원 프로그램 간단 정리

by 우물 안 개구리 2024. 8. 9.
반응형

1. 임신 사전건강관리

목적: 가임기 남녀의 성·생식건강 증진 및 고위험 요인의 조기 발견으로 건강한 임신·출산 지원

지원대상: 임신 희망 부부 (사실혼, 예비부부 포함), 여성이 가임연령(15~49)인 경우

 

지원내용

여성: 난소기능검사(AMH), 부인과 초음파 검사

남성: 정액검사

지원금액: 여성 최대 13만원, 남성 최대 5만원

신청절차: 보건소 방문 신청 또는 e-보건소 온라인 신청 검사의뢰서 발급 검사 및 결과 상담 검사비 청구 및 지급

 

2. 모성 · 영유아 건강관리

철분제 지원: 임신 16주 이상 임산부 대상, 1인당 5개월분

엽산제 지원: 임신 준비 여성 및 임산부 대상, 1인당 6개월분

모바일 앱 '아이마중' 운영

 

3. 저소득층 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

목적: 저소득층 영아 가정의 육아 필수재 지원으로 경제적 부담 경감

지원대상: 기초생활보장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 수급 가구 및 중위소득 80% 이하의 장애인 및 다자녀 가구

지원내용: 기저귀 월 9만원, 조제분유 월 11만원

신청서류: 신청서, 개인정보 동의서, 주민등록등본 등

 

4. 첫만남이용권 지원

목적: 출생 아동에게 200만원 이상의 이용권 지급

지원대상: 출생신고된 아동

지원금액: 첫째아 200만원, 둘째아 이상 300만원

사용기간: 아동 출생일로부터 2

 

5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

목적: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양육 지원 및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 경감

지원대상: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및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

지원내용: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

지원기간: 최소 5~ 최대 25, 산모 및 신생아의 상황에 따라 차등 지원

서비스 가격 및 정부지원금: 태아 유형별, 출산순위 및 소득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

 

신청방법

보건소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: e-보건소 및 복지로

이 프로그램은 지원 대상 및 소득 기준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. 자세한 사항은 해당 지역의 보건소에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